~1900년대
- 1963. 01. 01. 법률 제1175호에 의거 양주군 화도읍 3개리(운수, 지둔, 송천), 진접면 1개리 (수산), 가평군 외서면 3개리(내방, 외방, 입석)를 합쳐 수동면 신설(법정7, 행정12개리)
- 1980. 04. 01. 법률제3169호로 양주군에서 분리 남양주군으로 분군
- 1983. 04. 01. 행정리 12개리를 13개리로 개편(입석3리)
- 1985. 06. 01. 행정리 13개리를 14개리로 개편(운수2리)
- 1987. 01. 01. 행정리 14개리를 16개리로 개편(수산3리, 입석4리)
- 1987. 07. 01. 행정리 16개리를 19개리로 개편(운수3리, 지둔2리, 외방3리)
- 1989. 10. 09. 행정리 19개리를 20개리로 개편(송천3리)※ 법정 7, 행정 20개리, 자연부락 33
- 1995. 01. 01. 법률제4774호로 미금시와 남양주군이 통합, 남양주시 신설
2000년대 ~ 현재
- 2008. 02. 21. 행정 20개리를 21개리로 개편(송천4리) ※ 법정 7, 행정 21개리, 자연부락 33
- 2009. 08. 06. 행정 21개리를 22개리로 개편(내방3리) ※ 법정 7, 행정 22개리, 자연부락 33
- 2013. 09. 12. 행정 22개리를 23개리로 개편(지둔3리) ※ 법정 7, 행정 23개리, 자연부락 33
- 2016. 01. 04. 화도수동행정복지센터 개청
- 2018. 01. 02. 행정 23개리를 24개리로 개편(지둔4리) ※ 법정 7, 행정 24개리, 자연부락 35
- 2018. 10. 29. 수동행정종합타운 개청
지역유래
1963년 1월 1일법률제1175호로 가평군 외서면 3개리(입석리,외방리,내방리)와 진접면의 수산리 및 화도면의 3개리(지둔리,운수리, 송천리)를 병합하여 수동면을 신설하였다.
수동면 지역은 옛부터 산자수려하고 맑은 물이 굽이쳐 흘러 `물골안`이라 부르다가 1963년 1월 1일 신설면이 되면서 수동면이라 칭하게 되었다. 운수리는 조선말엽까지 운하동으로 불리다가 그 후부터 운수리로 바뀌어 불리게 되었고, 지둔리는 부락 중앙에 진흙이 많아 질둔지로 불리던 것이 음이 변하여 지둔리로 되었으며, 송천리는 예부터 송림이 우거지고 큰 내가 마을앞으로 흐르고 있다하여 송천리로 불리웠으며, 수산리는 옛날에 분리되었던 `수막`과 `내마산`이 합쳐져서 하나의 행정구역이 되어 두 이름을 따서 수산리라 하였고, 내방리는 산이 앞으로 싸고 돌아 안에 위치한 마을이라 하여 내방리로 불리웠으며, 외방리는 내방리의 바깥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입석리는 주위에 돌이 병풍같이 서 있다 하여 선돌이라 불리다가 한자화하여 입석리라 부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