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대
- 1914. 04. 01. 별비면 9개리와 내동면 내동3개리를 합하여 별내면이라 칭함.
- 1966. 07. 11. 퇴계원 출장소 설치
- 1980. 04. 01. 행정구역 개편으로 행정리 4개리가 의정부로 편입하여 행정리를 13개리로 정함
- 1987. 01. 01. 행정리를 21개리로 증
- 1989. 04. 01. 퇴계원출장소를 면으로 승격분리(행정리 13개리)
- 1995. 01. 01. 미금시+남양주군= 남양주시 통합
- 1997. 07. 30. 행정리를 16개리(2개리 증)
2000년~현재
- 2000. 01. 15. 행정리를 21개리(5개리 증)
- 2000. 12. 28. 행정리를 22개리(1개리 증)
- 2003. 02. 04. 행정리를 24개리(2개리 증)
- 2005. 05. 12. 행정리를 25개리(1개리 증)
- 2005. 06. 01. 청학출장소 설치
- 2009. 12. 16. 청학출장소 폐지
- 2009. 12. 16. 면사무소 이전(별내면 덕송리 114-8 → 별내면 광전리 122-6)
- 2012. 01. 02. 행정리를 16개리(9개리 감) ※별내동 신설(분동) : 덕송1~2리, 화접1~7리
- 2012. 11. 08. 행정리를 18개리(2개리 증)
- 2017. 02. 06. 별내행정복지센터 개청
지역유래
양주군 별비면(楊洲郡 別飛面)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통합에 따라 별비면의 “別”자 내동면의 “內”자를 따서 別內面이라 하고 고산/산곡/청학/용암/덕송/화접/퇴계원/광전리의 8개리를 관할하였다.
2012년 별내동 신설에 따라 청학/용암/광전리 3개리로 개편되었다.
- 청학리(靑鶴里) [동학굴, 동학동, 청학동]는 조선시대부터 한말까지 이 지역은 양주군 별비면에 속해 있었는데, 1914년 4월 1일 읍면 통폐합에 따라 별비면 동학(同鶴)동 전부와 응달리, 흑석리, 덕동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청학리라 하였다. 또한 청학리의 다른 이름인 동학굴(東鶴窟), 동학꼴, 동학동(東鶴洞) 등도 학(鶴)과 관련되어 있는데, 학이 이 마을 동쪽 편 은행나무에 자주 날아온 데서 연유한 것이다.
- 용암리(龍岩里)는 가장 북쪽에 있는 산의 이름은 용암산(龍岩山)으로, 의정부시와 경계를 이룬다. 용처럼 생긴 바위가 있어서 “용암산”이라 부르며 용암리라는 리 이름은 이 지역이 용암산 밑에 해당하는 곳이므로 붙게 된 것이다. 용암리에 있는 마을로 거묵골·거묵굴(巨墨窟)이라는 이름은 마을 근처에 숲이 우거져서 마을이 거무스름하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라 전해지며, 이와는 달리 옛날에 큰 먹이 나와서 이렇게 불린다고도 말한다. 그리고 도감포수(都監砲手) 혹은 도감(都監)이라는 벼슬을 했던 사람이 이 마을에 낙향(落鄕)하여 살았다고 하는 도감말, 도감마을 이라는 이름도 있다.
- 광전리(廣田里)는 조선시대부터 한말까지 이 지역은 양주군 별비면에 속해 있었는데, 1914년 광암(廣岩)리의 광(廣)자와 마전(麻田)리의 전(田)자를 따서 붙인 이름입니다. “퇴뫼산”이라는 이름은 “갈라져 나온 산”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