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과 목표
지원체계
청년 정책 거버넌스
- 남양주시는 변화와 혁신 성장의 동력이 될 청년 세대와의 상생(相生)·협력(協力) 거버넌스를 통하여 청년이 직접 청년정책과 관련한 의제를 발굴하고 제안함은 물론 적극적 참여를 위하여 청년정책위원회와 청년정책협의체를 구성 운영
위원회 및 협의체
구분 | 청년정책위원회 | 청년정책협의체 |
---|---|---|
법적근거 | 「남양주시 청년 기본조례」 제10조 | 「남양주시 청년 기본조례」 제15조 |
주요기능 | 정책 심의·의결 | 정책 의견수렴·모니터링 |
구성인원 | 19명 | 22명 |
자격요건 | 관내 거주 혹은 활동 청년 및 시민 | |
활동기간 | 위촉일로부터 2년 |
「남양주시 청년 기본조례 제정」 : 2017. 12. 26.
2021년 청년사업 현황
사업명 | 주요내용 | 주관부서 |
---|---|---|
청년기본소득 운영 | 청년의 복지향상 및 기본권 보장을 위한 청년기본소득 지급 | 미래인재과 |
청춘야학당 교육 프로그램 운영 | 관내 청년 역량강화 교육 | |
일자리카페 운영 | 관내 만18~39세 청년구직자/청년취업특강, 취업지원 서비스 | 일자리복지과 |
청년 취업성공 프로젝트 | 청년 맞춤형 직무분석부터 면접전략까지 취업성공을 위한 종합적인 컨설팅 제공을 통해 취업역량 강화 | 일자리복지과 |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청년행복일터, 청년기업가, 청년일드림) |
기업연계, 창업지원, 전공 및 적성을 고려한 일경험 기회 제공 | 일자리복지과 |
청년저축계좌 운영 | 일하는 차상위계층 청년에게 주택전세자금 및 교육비 마련을 지원하여 자립을 촉진 | 일자리복지과 |
청년희망키움통장 운영 |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20% 이상인 청년(만15~34세) 근로사업소득공제액 10만원과 근로소득장려금 지원 | |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 | 관내 만40세 미만, 영농경력 3년 이하 청년 농업인 생활안정자금 지급 | 농생명정책과 |
농업인자녀 대학생 학자금 이자지원 | 4년제 이상 : 4천만원, 8회 / 2~3년제 : 2천만원, 4회 | 농생명정책과 |
청년창업지원 주택사업 | 사업기간 : 2018년~2022년 / 창업지원주택 200호 + 청년주택 150호 |
도시재생과 |
청년창업센터 조성사업 (청년창업복합단지) |
사업기간 : 2019. 4. ∼ 2021. 4. 청년광장·청년창업센터·청년힐링공원 조성 |
미래인재과 |
라이선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제3유형:출처표시+변경금지](/common/image/new_img_opentype03.png)
정보 담당 부서
- 웹페이지
- 문화교육국 >미래인재과 >청년정책팀
- 연락처
- 031-590-8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