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메뉴



자연환경

한강유역에 위치한 우리고장은 한반도의 중심지로 기후가 온화하며 토지가 비옥하여 일찍부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군사적인 요지로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그 명칭과 지역범위가 수없이 변화되어 왔다.

지역특성

  • 남양주시는 경기도의 동북부에 자리하며 수도 서울에서 동(東)으로 26km 지점에 그리고 도청 소재지인 수원에서 동북방으로 65km 지점에 위치한 사통팔달의 교통 요충지이다.
  • 남양주시는 행정구역상으로는 1특별시, 5시, 2군과 접하고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동(東)으로 양평군과 가평군, 서(西)로 서울특별시, 의정부시, 구리시, 남(南)으로 하남시와 광주시, 북(北)으로 포천시와 접하고 있다.

수리적 위치

구분(극동, 극서, 극남, 극북)별 동경, 북위, 해당지역에 대한 정보 제공
구분 동경 북위 해당지역
극동 127°22′45″ 37°40′27″ 가평군과의 경계(청평면 삼회리)
극서 127°04′52″ 37°41′59″ 의정부시와의 경계(의정부시 장암동)
극남 127°17′54″ 37°30′30″ 광주시와의 경계(남종면 분원리)
극북 127°16′00″ 37°46′49″ 가평군과의 경계(상면 상동리)

권역별 면적

권역별 면적의 계,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상수원보전특별대책지역), 과밀억제권역에 대한 정보 제공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
(상수원보전특별대책지역)
과밀억제권역
458.1 218.15 194.91 45.44
(100.0) (47.6) (42.5) (9.9)

※ 2021년 기본통계 기준(단위: ㎦,%)

지형

남양주시는 크게 동북방의 산지와 서남방의 분지로 구분되는데 동북지역에는 금산(813.6m), 축령산(879m), 천마산(812m), 운길산(610.2m)과 서쪽으로는 서울의 도봉산과 대치한 수락산(637m), 불암산(509m)이 솟아 있으며 중심부에 넓은 분지를 이루고 있다.

동쪽으로는 북한강이 남으로 흐르다가 조안면 능내리에서 남한강과 합류하여 한강을 이룬 가운데 와부읍과 지금동의 남단을 비켜 서해로 흘러든다.

남‧북한강의 합류지점에 형성된 팔당호는 2천만 수도권 시민의 상수원인 동시에 팔당댐은 수도권의 전력수급과 홍수조절능력을 갖추어 국가적으로도 귀중한 자산이다. 평지의 지질은 대체로 비옥하여 서울을 시장으로 한 고등소채의 주생산지이며, 특히 별내면, 진건읍 지역의 사양토에서 다량으로 생산되는 먹골배는 맛과 질이 우수하여 호평을 받고 있다.

기후

우리시 지역은 대륙성 기후의 영향으로 겨울철에는 한랭건조하고 여름철은 고온다습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 천기일수를 보면 맑은 날이 119일, 흐린 날이 129일, 비 오는 날 97일, 눈 오는 날이 20일임
  • 연평균 기온은 12.1℃이며, 1월이 -4.2℃로 가장 춥고 7월이 25.0℃로 가장 더움
  • 연 강수량은 778.3mm으로 이중 여름철 7월 강수량은 216.3mm이며 평균 습도는 64%임

라이선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제3유형:출처표시+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정보 담당 부서

웹페이지
남양주시 >홍보기획관 >홈페이지운영팀

만족도 조사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시는 페이지의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