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메뉴



역사&사찰

정약용유적지

정약용유적지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747번길 11
홈페이지 http://thinkj.or.kr/

소개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위치한 정약용유적지는 나라의 부패를 꾸짖던 선생의 쩌렁쩌렁한 목소리와 꼿꼿하고 검소한 그의 생활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생가 여유당, 이백 년 세월의 흐름 앞에 절로 고개 숙여지는 정약용 선생의 묘, 시대를 앞서간 선구자의 업적과 자취가 전시된 기념관과 정약용 선생을 현대적 시각으로 재조명해 보는 문화관이 있다. 한 걸음이면 뛰어 넘을 것 같은 여유당의 낮은 담장에는 허물없이 백성들의 기쁨과 아픔을 함께하고자 했던 정약용 선생의 마음이 담겨 있다. 매년 정약용유적지에서 펼쳐지는 정약용 문화제는 다채로운 시민행사와 공연 등 모두 함께 어우러지는 축제의 한 마당으로 정약용 선생의 생애와 사상을 문화적 시각으로 재조명, 우리 문화를 통해 정약용 선생을 직접 체험하는 시민문화축제이다.


           꾸미기_20190523_150836.jpg                     크기변환_여유당 생가(1).jpg

  • 시설내용 : 정약용선생묘(경기도 기념물), 여유당(생가), 문도사(사당), 기념관, 문화관, 문화의 거리
  • 전시물품 : 영정, 목민심서 등 저서, 거중기, 디오라마, 영상자료 및 조형물

상세 정보

여행스케치

정약용유적지의 입구에 조성된 '문화의 거리'에는 수원 화성 축조에 사용된 거중기와 동판에 선생이 집필하신 목민심서, 경세유표 등이 새겨져 있다. 문화관에 들어서면 정약용 선생을 주제로 제작된 미술품들이 전시되어있고, 기념관에서는 정약용 선생의 일생과 저서들을 관람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약용 선생의 생가인 여유당 뒤 야트막한 동산 위에는 정약용 선생과 부인(풍산 홍씨)의 합장묘가 한강을 조용히 바라보고 있다.

관람시간

  • 오전 9시 ~ 오후 6시(1월~12월) (입장가능시간 : 오전 9시 ~ 오후 5시30분)
  • 휴관일 : 신정(1월 1일), 설날, 추석 당일, 매주 월요일

         * 월요일 개관 시, 다음 날 휴관

  

입장료

무료


여유당(與猶堂)

 정약용 선생의 생가인 여유당(與猶堂)은 현재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당시 광주군 초부면 마현리)에 있다. 조선시대에는 이곳을 소내(苕川) 또는 두릉(杜陵)이라고 했고 정약용 선생의 5대조부터 여기에 자리를 잡았다. 당호(堂號)인 여유(與猶)는 조심하고 경계하라는 뜻으로, 노자의 겨울의 냇물을 건너는 듯 하고(與), 사방을 두려워하는 듯 하거라(猶)라는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 선생은 당호를 1800년(정조24년) 봄에 모든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와 짓고, 자신의 삶의 방향으로 삼았다.

 여유당 앞으로 시냇물이 흐르고, 뒤에는 낮은 언덕이 있어 선생이 여유당을 수각(水閣)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기존의 여유당은 1925년 을축년 대홍수로 유실되었으며, 1986년 여러 자료들과 증언을 참고하여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복원한 것이 지금의 여유당이다.


다산여유당.gif           여유당 생가(5).jpg              1610507018095.jpg    

                                             

기념관

기념관에는 정약용 선생의 대표 저서들인 「목민심서」,「경세유표」,「흠흠신서」의 사본들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수원 화성의 건축 현장을 재현한 디오라마가 있어, 정약용 선생이 수원 화성 축조에 거중기와 녹로를 어떻게 사용했는지 한 눈에 알 수 있다. 기념관 벽면에는 정약용 선생의 가계도, 귀양 경로, 일대기 등이 설명된 자료와 영상들이 상설 전시되어 있어 선생의 삶의 궤적을 짚어갈 수 있다. 


크기변환_90300164.jpg 




문화관

기념관 옆에 있는 문화관에는 정약용 선생을 주제로 제작된 미술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총 7점이 전시되어 있으며, '신아지구방', '하피첩으로 전하는 아버지의 마음', '정약용의 정원' 등의 작품이 전시중이다.


크기변환_90300203.jpg




문도사

정약용 선생의 위패와 영정이 모셔진 사당이다. 대한제국 시기에 나라에서 죄인으로 낙인찍혔던 인물을 복권하고 시호를 내려주는 등의 작업을 하고 있었는데, 정약용 선생도 1910년에 문도(文度)라는 시호를 받았다. 선생의 시호를 딴 이 사당은 조선 최고의 학자인 정약용 선생을 기리기 위해 지어졌으며, 매년 선생의 기일에 후손들이 묘제를 지내고 있다.  


크기변환_90300160.jpg






정약용선생묘

경기도 기념물인 정약용선생묘이다. 1972년 5월 4일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부인인 풍산 홍씨와 함께 합장되었다. 묘소에는 묘비·상석·망주석 1쌍이 설치되었고, 상석 밑에 좌우로 석단이 있어 봉분과 앞 공간을 구분하였다. 묘비는 팔작지붕 모양의 옥개석을 갖추고 있으며, 오석제 비신과 기대 등으로 구성된 조선 후기의 양식이다. 비신에는 '문도공다산정약용 숙부인풍산홍씨 지묘'라고 적혀있다.


90300084.jpg




찾아오시는 길

주소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747번길 11
전화번호 : 031-590-2837, 4242 / 안내 해설사실 : 031-590-4766
버스이용 시
  • 58(배차간격 20-40분):심석중고교(남양주)~다산정약용유적지,실학박물관
  • 58-3(배차간격 35-50분):대성리~다산정약용유적지입구~도농역
  • 63(배차간격 120분):덕소아이파크(남양주)~다산정약용유적지입구~연세중학교(남양주)
  • 2000-1(배차간격 1일2회):양평터미널~다산정약용유적지입구~강변역
  • 8-8(배차간격 1일 3회):문호리 종점(~다산정약용유적지입구~도농역
지하철이용 시 : 팔당역 하차 : 58-3번, 63번, 2000-1 버스 탑승 > 다산정약용유적지입구 하차 (도보 20분)

목록보기

라이선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제3유형:출처표시+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정보 담당 부서

웹페이지
문화교육국 >문화관광과